유튜브 라이트 요금제 도입 임박…국내 음원 앱 시장, 단비 될까?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 "유튜브 라이트 요금제 상륙 임박! 국내 음원 앱 시장 가뭄 속 단비 될까?" 리포트 발표

2025-08-02     최승은 기자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가 자사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활용해 작성한 모바일인덱스 <유튜브 라이트 요금제 상륙 임박! 국내 음원 앱 시장 가뭄 속 단비 될까?> 리포트를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는 아이지에이웍스의 독자적인 AI 기반 데이터 분석 기술인 SCI(Synthetic Customer Intelligence)를 기반으로 도출된 분석 결과를 담고 있다. SCI는 모바일 사용성 데이터, 카드 결제 데이터, 기타 고객 행동 데이터 등 서로 분산된 정보를 AI가 정교하게 연결·분석해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방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유튜브가 최근 출시한 ‘유튜브 라이트’ 요금제는 국내 음원 앱 시장에 또 하나의 지각변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약 70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는 유튜브 프리미엄 사용자층이 새로운 요금제 도입에 따라 변화할 경우, 기존 음원 앱들의 사용자 확보 경쟁은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현재 국내 음원 앱 사용자 수 기준 1위는 유튜브 뮤직으로, 2025년 6월 기준 약 796만 명의 월간 사용자를 기록하며 16개월 연속 1위를 지키고 있다. 이어 멜론(710만 명), 삼성 뮤직(389만 명), 지니 뮤직(298만 명), 플로(210만 명) 순이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유튜브 뮤직은 10대부터 50대까지 전 연령층에서 사용량 1위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였다.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유튜브 뮤직에 대한 선호가 두드러졌으며, 이는 유튜브 라이트 도입 이후에도 그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편 이번 보고서는 AI가 분석한 디바이스 단위의 추정치가 반영된 자료로, 실제 수치 및 타 조사기관의 결과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분석에 활용된 모바일 데이터는 안드로이드와 iOS를 모두 포함한 통합 기준으로 산출되었다.

아이지에이웍스는 “SCI 기반 분석은 기존 방식보다 정교하고 다차원적인 사용자 행태 파악이 가능하다”며 “이번 리포트는 국내 음원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는 데 실질적인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