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케스트로, 9월 2일 솔루션데이 개최… 글로벌 AI‧클라우드 최신 기술‧전략 총집결
글로벌 기술 리더‧현장 전문가 한자리에… 산업별 전략‧기술 동향 공유 기조‧파트너‧테크 세션서 AI‧클라우드 도입 사례와 운영 노하우 발표 KT‧구글 클라우드 등 글로벌 IT 기업 전시‧이벤트 진행
오케스트로가 첫 단독 솔루션데이를 열고 AI‧클라우드 혁신 전략을 공개한다.
AI‧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 오케스트로(이사회 의장 김민준)는 9월 2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그랜드볼룸에서 ‘오케스트로 솔루션데이 2025’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행사의 주제는 ‘AI 시대의 클라우드 혁신’으로, AI와 클라우드가 함께 만들어갈 비즈니스 혁신 방향을 제시한다. 공공‧금융‧제조‧통신‧항공‧의료‧IT 서비스 등 주요 산업을 대표하는 국내외 기업‧기관‧학계 관계자 1,000여 명이 참석하는 업계 최대 규모 행사다.
김범재 대표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AI‧클라우드 분야의 글로벌 기술 리더와 현장 전문가들이 연사로 나선다. 프로그램은 ▲기조강연 ▲글로벌 파트너 세션 ▲테크 세션으로 구성돼, 최신 기술 트렌드부터 산업별 전략, 실제 적용 사례까지 폭넓게 다룬다.
기조강연에서는 김영광 오케스트로 CTO가 <AI 시대의 클라우드 혁신>을 통해 AI 시대 클라우드 기술과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소개한다. 박소아 오케스트로 클라우드 대표는 <AI Transformation: 대전환의 서막>에서 산업별 전략과 최신 기술 동향, AI 전환 로드맵을 발표한다.
글로벌 파트너 세션에는 Jimmy McArthur 오픈인프라 재단(OpenInfra Foundation) 사업개발 총괄이 <글로벌 가상화 기술의 새로운 리더십>을 주제로 VMware 이후 가상화 시장 재편과 리더십 전략을 짚는다. 일본 IT 인프라 통합 기업 투모로우넷은 일본 B2B 시장에서의 VM웨어 대체 수요와 AI 인프라 전환 적용 사례를 공유한다.
테크 세션은 네 개 발표로 구성된다. 서영석 솔루션전략본부 본부장이 <Next Virtualization 글로벌 항해의 개척자>에서 서버 가상화 솔루션 ‘콘트라베이스(CONTRABASS)’와 클라우드 네이티브 운영관리 플랫폼 ‘비올라(VIOLA)’를 소개한다. 이유종 플랫폼개발본부 본부장은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AI로 완성하다>에서 ‘오케스트로 CMP’의 통합 관리와 AI 적용 사례를 발표한다.
박의규 인공지능연구소 소장은 <개인의 지식에서 조직의 지혜로, 지식 연결의 시대>를 통해 생성형 AI 솔루션 ‘클라리넷(CLARINET)’을, 김성구 DevOps 개발본부 본부장은 <DevOps의 진화, AI를 더하다>에서 데브옵스 솔루션 ‘트럼본(TROMBONE)’을 선보인다.
행사는 KT,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HPE), 수세(SUSE), 리미니스트리트(Rimini Street), 시스코(Cisco), 넷앱(NetApp) 등 7개 글로벌 IT 기업의 후원으로 진행된다. 후원사들은 전시 부스를 통해 최신 기술과 솔루션을 소개하고, 시연과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해 방문객이 현장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사전 이벤트로 ‘오케스트로 솔루션데이 2025’ 홍보 영상을 시청하고 댓글을 남긴 참여자 중 추첨을 통해 치킨 기프티콘을 증정한다. 행사 당일에는 정오부터 오후 1시 사이 도착한 선착순 100명에게 미르 텀블러를, 오케스트로 전시 부스를 방문한 관람객에게는 고급 골프 우산, 고속 충전 보조배터리, 에어팟 등 다양한 현장 경품을 제공한다. 이 밖에도 럭키드로우를 통해 LG OLED TV, 삼성 비스포크 로봇청소기, 티셔츠 등 푸짐한 경품을 증정한다.
오케스트로는 이번 행사를 통해 업계 관계자들이 AI부터 클라우드까지 아우르는 풀스택 솔루션과 실제 운영 사례를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고, 향후 전략 수립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전 등록은 ‘오케스트로 솔루션데이 2025’ 공식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오케스트로 김범재 대표는 “AI와 클라우드의 결합은 선택이 아니라 기업 생존의 필수 전략”이라며 “이번 행사에서 AI와 클라우드가 만들어갈 비즈니스 혁신을 제시하고, 앞으로도 글로벌 기술 트렌드와 현장 경험을 결합해 고객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