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픽》과 《말해보카》, 한국 시장 기반으로 아시아 교육 앱 수익 2위, 3위 달성

2025-08-22     센서타워

2025년 아시아 교육 앱 시장에서는 글로벌 리더 《듀오링고》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스픽》과 《말해보카》가 수익 순위에서 각각 2위, 3위를 차지하며 다른 지역과는 차별화된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교육 앱 시장, 수익은 증가하고 다운로드는 안정적

센서타워 앱 퍼포먼스 인사이트 데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 교육 앱의 인앱구매 수익은 꾸준히 성장한 반면, 다운로드 수는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이는 시장을 주도하는 기존 교육 앱들이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을 통해 성장을 이어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025년 현재, 지역별 교육 앱 수익을 살펴보면 북미가 최대 시장으로 전체 수익의 약 44%를 차지했습니다. 북미의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10%였지만, 수익 비중이 그 다음으로 높은 유럽, 아시아, 중남미 지역은 20-22% 성장하며 북미보다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습니다.

즉, 글로벌 교육 앱 수익 증가는 북미의 안정적 성장과 아시아, 중남미, 유럽의 높은 성장세가 함께 만들어낸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 교육 앱 수익 순위, 《스픽》 2위, 《말해보카》 3위… 1위 《듀오링고》와 격차 좁혀

학습 앱의 주요 지역인 북미, 유럽, 중남미에서는 《듀오링고》가 압도적인 수익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각 지역에서 2위 앱보다 적게는 3배, 많게는 8배 가까운 인앱구매 수익을 기록하며 글로벌 리더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반면 아시아 시장에서는 다소 다른 양상이 나타났습니다. 아시아에서도 《듀오링고》가 1위를 차지했지만, 2위 스픽이지랩스의 《스픽》과의 격차는 약 2배로, 다른 지역에 비해 가장 작았습니다. 또한, 한국 퍼블리셔 이팝소프트의 《말해보카》도 3위에 오르며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스픽》과 《말해보카》, 한국 인기 바탕으로 글로벌 성장… 효율적 광고와 타깃 키워드 전략

2019년 출시된 《스픽》은 누적 인앱구매 수익 1억 달러를 돌파하며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한국이 전체 수익의 절반가량을 차지했지만, 2025년 들어 일본이 41%로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하며 한국(32%)을 앞질렀습니다. 대만 역시 11.6%로 점차 존재감을 확대하며 《스픽》의 시장 다변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같은 해 출시된 《말해보카》는 누적 인앱구매 수익 약 6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올해 현재까지 한국이 전체 수익의 83%를 차지하며 여전히 핵심 시장이었지만, 이전과 비교해 일본 비중이 10%까지 확대되면서 해외 시장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스픽》은 미국 퍼블리셔, 《말해보카》는 한국 퍼블리셔로 국가가 다르지만, 두 앱 모두 한국 시장의 높은 영어 학습 수요를 기반으로 성장했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스픽》의 성장에는 공격적이며 효율적인 광고 전략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2025년, 《스픽》은 한국과 일본에서 광고비와 노출 수 모두 교육 앱 중 1위를 기록했으며, 특히 ‘새해 다짐’ 시즌인 1월에 광고를 집중해 효과를 극대화했습니다.

노출 수 상위 광고 소재는 시장별로 차이를 보였는데요. 한국에서는 ‘새해 영어, 스픽으로 딱 100일만’이라는 카피와 대학생 모델을 통해 목표 달성과 꾸준한 학습을 강조했고, 일본에서는 요리, 휴식, 반려동물 등 생활 장면을 활용해 영어 학습이 일상 속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즉, 한국은 단기간 성과를 내고자 하는 목표 지향적 메시지를, 일본은 생활 친화적인 맥락을 강조하는 부드러운 톤을 활용함으로써 각 시장의 문화적 특성과 학습 태도에 맞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선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말해보카》도 한국과 일본에서 광고비와 노출 수 모두 상위 5위 안에 들며 활발히 광고를 집행했습니다. 광고 소재는 문법이나 어감에서 흔히 하는 실수를 유머러스하게 풀어내며 오디언스의 공감을 얻었습니다.

또한 앱 이름에 ‘영단어’, ‘문법’, ‘리스닝’, ‘스피킹’ 등의 키워드를 활용해, 관련 검색에서 상위 노출에 성공했습니다. 센서타워 오디언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말해보카》의 18~24세 사용자 비율은 21%로 《듀오링고》보다 다소 높고, 《스픽》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이처럼 사용자 연령대가 어린 만큼, 《말해보카》의 사용자층은 다른 앱과 달리 일반 인구 대비 ‘학생’ 페르소나에 해당할 가능성이 유일하게 플러스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시험 준비와 단어 암기에 대한 수요가 높은 학생층을 주요 사용자로 확보했음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