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콜랩, 서울시와 ‘2025 감염제로 심포지엄’ 진행...식품안전 강화 앞장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 예방 관리의 필요성 강조 및 업계 관계자의 인식과 행동 변화 위해 마련 행사 주관사인 한국이콜랩은 100년 이상의 감염 예방 노하우를 바탕으로 식품 안전 강조해
물, 위생 및 감염 예방 분야에서 ESG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화학기업 한국이콜랩(대표 류양권)이 지난 23일 서울시청 서소문청사 후생동에서 열린 ‘2025 감염제로 조리환경 심포지엄’에 주관사로 참여해 식품안전과 위생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 서울시가 주최하고 한국이콜랩이 주관해 수인성 및 식품매개 감염병 예방의 필요성을 공유하고, 업계 종사자의 인식과 행동 변화를 이끌기 위해 마련됐다.
심포지엄에는 음식점 종사자, 식품위생 전문가, 학계 및 협회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1부에서는 서울시 감염병관리과가 ‘서울시 2024년 감염관리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고,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함선옥 교수(한국급식학회 회장·케이푸드인랩 대표)가 아픈 조리 종사자 및 노로바이러스 관리 방안을 소개했다. 이어 한국이콜랩 윤소라 과장이 식중독 예방 및 관리 방안을, 아라마크 코리아 이진아 이사가 글로벌 푸드서비스 현장의 식중독 위험 관리 우수 사례를 발표했다.
윤소라 과장은 ‘식중독 위험을 줄이는 음식 제조 공정 개선 방안’을 주제로 발표하며 RTE(Ready-To-Eat) 식품의 취급 원칙, 손 씻기와 위생장갑 착용 지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아픈 조리 종사자 관련 식중독 사례 816건 분석 결과, 61% 이상이 식품 서비스 시설 및 케이터링 행사에서 발생했으며, 주요 원인은 맨손 접촉과 불완전한 손 세척이었다고 밝혔다. 특히 식품 종사자의 손 오염이 식중독 발생 원인의 8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손 위생 관리의 시급성을 지적했다.
아울러 손 씻기 지침이 없는 음식점에서 교차오염 행동이 1.68배 더 많이 관찰됐다는 조사 결과도 제시됐다. 같은 날 발표된 서울시 조사에서도 음식점 내 손 씻기 및 위생장갑 교육 자료 비치율이 각각 16.5%, 16.8%에 불과해 위생 관리에 대한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이 드러났다.
한국이콜랩 인스티튜셔널 사업부 최성만 부사장은 “일교차가 큰 초가을은 식중독균이 증식하기 쉬운 시기이며, 추석을 앞두고 식품안전사고 예방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그동안 쌓아온 감염예방 노하우와 구체적 지침을 공유해 업계 전반의 식품안전 수준 향상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이콜랩은 식품안전 전문 인재 양성을 핵심 과제로 삼아 교육기관 및 업계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대림대학교, 우송정보대학, 연세대학교 등 특화 대학과 협약을 맺어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랜드 하얏트 서울과 협력해 호텔 및 외식업계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무형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교육과 실무 경험을 결합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