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키즈 IP ‘치타부’, 멕시코 공영방송 ‘카날 22’ 방영… 한국 동요 콘텐츠 최초 진출

치타부, 멕시코 시청 점유율 30~40% 카날 22, 한국 키즈 콘텐츠 최초 방영 6월 멕시코 유튜브 1위 달성 후 공영방송 진출로 글로벌 입지 강화 이주현 대표 "치타부가 K-키즈 콘텐츠로 중남미 한류의 '사다리 역할'할 것"

2025-11-10     신성수 기자

크로스미디어 콘텐츠 IP 스타트업 마코빌(대표 이주현)이 자체 개발한 글로벌 키즈 IP ‘치타부(Cheetahboo)’가 멕시코 공영방송 ‘카날 22(Canal 22)’를 통해 11월 5일(현지 시간)부터 정식 방영을 시작했다. 한국 동요 IP가 멕시코 공영방송에 진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K-키즈 콘텐츠의 글로벌 확장성과 문화적 경쟁력을 입증한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카날 22는 멕시코 문화부 산하 공영방송사 ‘텔레비전 메트로폴리타나(Televisión Metropolitana)’가 운영하는 채널로,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중심의 편성을 지향한다. 멕시코 내 시청 점유율 약 30~40%를 차지하는 메이저 방송사이기도 하다. 동요만으로 정규 편성되는 경우는 이례적이며, 콘텐츠의 문화적・교육적 가치가 인정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마코빌 이주현 대표는 “2~3분 분량의 동요를 약 5분짜리 방송용 에피소드로 구성해, 카날 22의 까다로운 심사 기준을 통과했다”며, “이례적인 편성이 이뤄진 만큼, 콘텐츠의 완성도와 교육적 가치를 높게 평가받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치타부의 멕시코 진출에는 유튜브를 통한 영향력도 한몫했다. 치타부 스페인어 채널은 2025년 6월 기준 멕시코 주간 영화/애니메이션 인기 유튜브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글로벌 인기 키즈 IP ‘마샤와 곰(Masha and the Bear)’을 제친 바 있다. 이 같은 성과에 주목한 카날 22 측이 한국콘텐츠진흥원을 통해 마코빌과 접촉하며 이번 방송 계약이 성사됐다.

치타부가 중남미에서 인기를 끄는 배경에는 차별화된 음악성과 철저한 현지화 전략이 있다. 일반적으로 서양권 동요는 단순한 악기 구성과 느린 템포를 채택하지만, 치타부는 K-팝 스타일의 빠른 템포와 다채로운 악기 편성을 통해 생동감 있는 분위기를 구현했다. 이러한 에너지 넘치는 음악은 라틴 문화권의 정서와도 잘 맞아떨어지며 높은 반응을 얻고 있다.

또한 스페인어 채널은 멕시코 현지 네이티브 스피커가 직접 번역과 운영을 맡아 문화적 맥락에 맞는 언어 사용과 자연스러운 표현을 구현했다. 이 대표는 “동요 콘텐츠는 아이들의 언어 습득에 직접 영향을 주기 때문에, 현지화는 단순한 번역을 넘어서야 한다”며, “네이티브 중심의 전략이 주효했다”고 밝혔다.

외국 어린이 콘텐츠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이 존재하는 멕시코 시장 특성상, 공영방송에서의 편성은 강력한 신뢰와 인증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향후 중남미 지역의 방송사 및 라이선스 파트너들과의 협상에서도 중요한 레퍼런스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