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적인 데이터 스토리지 기술을 제공하는 퓨어스토리지(Pure Storage)는 자사의 통합 파일 및 오브젝트 스토리지 플랫폼 플래시블레이드//E(FlashBlade//E)가 단일 스토리지 어레이에서 3조 개 이상의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실제 고객 데이터센터 환경에서 달성된 기록으로, 오브젝트 수 기준 업계 최고 수준의 확장성을 입증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해당 기록은 기술 검증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당초 목표였던 5,000억 개 객체 처리 한계를 6배 이상 초과 달성했다. 퓨어스토리지 측은 성능 저하 없이 3조 개 객체를 관리한 이번 실험 결과를 통해, 플래시블레이드 아키텍처의 안정성과 유연성을 강조했다.
퓨어스토리지 러셀 포프(Russell Pope) 컨설팅 필드 솔루션 아키텍트는 “고객은 단순한 스펙 시트상의 수치보다는 실제 환경에서 검증된 결과를 원한다”며 “이번 테스트는 플래시블레이드 아키텍처가 대규모 오브젝트 생성과 메타데이터 처리에서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밝혔다.
AI 시대, 오브젝트 스토리지의 역할 강화
AI 및 고도화된 데이터 분석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기업은 전통적인 파일 기반 인프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비정형 데이터의 급속한 증가에 직면해 있다.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이러한 비정형 데이터를 유연하게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플래시블레이드는 데이터 플레인과 메타데이터 플레인 모두에서 고성능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특히 전용 메타데이터 엔진을 자체 개발해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기반 아키텍처와의 차별성을 확보했다. 이에 따라 대규모 객체 저장 시에도 성능 저하 없이 선형적 확장이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러셀 포프는 “오브젝트 #3,873,348,996,481을 생성하는 속도가 첫 번째 오브젝트 생성 속도와 동일하게 유지됐다”며 “플래시블레이드는 이론적으로 객체 수의 제한이 없는 무한 확장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관점에서 획기적인 이점”이라고 설명했다.
차세대 워크로드 대응 위한 아키텍처적 진화
플래시블레이드의 확장성은 단순 저장 능력을 넘어, AI 훈련, 대규모 시뮬레이션, 비정형 데이터 분석 등 고부하 워크로드에서도 지속적인 성능을 보장한다. 또한 물리적 스토리지 용량만 충분하다면 시스템 구조의 복잡한 재설정 없이도 확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고객의 인프라 관리 부담을 크게 줄여준다.
퓨어스토리지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플래시블레이드를 차세대 데이터 레이크 아키텍처 및 AI 워크로드의 핵심 플랫폼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AI 모델 훈련과 대규모 데이터 분석 환경에서의 활용성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최적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한편, 퓨어스토리지는 향후 플래시블레이드 기반의 성능 테스트 및 고객 사례를 통해 고성능 오브젝트 스토리지 분야에서의 기술 리더십을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 퓨어스토리지, ‘퓨어//액셀러레이트 서울 2025’ 기자간담회 개최… 데이터 주권과 AI 기반 혁신 전략 발표
- 람다256, 퓨어스토리지 플랫폼으로 블록체인 서비스 성장 가속화
- 퓨어스토리지, 2025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 플랫폼 부문 리더 선정
- “스토리지가 아닌 데이터를 관리하라” 퓨어스토리지, 데이터 및 스토리지 관리의 새로운 기준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클라우드’ 발표
- 퓨어스토리지, SK하이닉스와 협력…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위한 고성능·에너지 효율 솔루션 공동 개발
- 퓨어스토리지-시스코, 엔비디아와 함께 엔터프라이즈를 위한 AI 팩토리 선보여
- 퓨어스토리지 포트웍스, '쿠베 데이터스토어' 공개... 전통적 가상화 환경의 복잡성 극복 및 쿠버네티스 현대화 가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