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핀글로벌, 디지털 서비스 전문계약 제도 통해 정부 및 공공기관이 생성형 AI 활용 챗봇과 콜봇, 가상 상담 어시스트, AICC 등을 빠르게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 예정
NLU와 LLM을 조화롭게 통합, 보유 데이터와 연동도 가능… 다양한 상황에서 정확하며 유연한 응답 제공, 데이터 유출 우려도 없어 고객 만족도 크게 향상 기대
멀티 클라우드 운영 관리 전문 기업 베스핀글로벌이 앞으로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 제도를 통해 자사의 대화형 AI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7일 밝혔다.
베스핀글로벌의 대화형 AI 플랫폼 서비스는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 제도의 심사를 통과하여 ‘클라우드-융합 서비스’에 등록되었다. 이로써 정부와 공공기관을 비롯한 공공 부문에서도 챗봇과 콜봇, 보이스봇, 가상 상담 어시스트 등의 대화형 AI 활용 서비스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도입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는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클라우드를 비롯한 디지털 서비스를 보다 빠르게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해당 제도는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여 빠른 수의계약이나 카탈로그 계약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 MSP 기업 중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를 통해 융합 서비스를 공급하는 기업으로 등록된 것은 베스핀글로벌이 최초이다.
베스핀글로벌은 옵스나우의 대화형 AI 통합 플랫폼인 헬프나우(HelpNow)를 기반으로 수요 기관이 빠르게 챗봇과 콜봇, 가상 상담 어시스트를 구축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원한다. 별도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지 않아도 기존에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연동, 이를 바탕으로 가장 정확한 답변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 기관의 데이터는 엄격한 보안 및 암호화를 통해 관리되어 외부 유출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전하게 활용된다. 또한 기존의 콜센터 인프라에 AI 기술을 융합하여, 대규모 인프라 개설이나 개발 과정 없이도 상담 업무를 빠르게 AICC(AI Contact Cetner)로 전환할 수도 있다.
더불어 빅테크가 제공하는 다양한 NLU(자연어 이해) 엔진과 LLM(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하여, 단순한 문답(FAQ) 방식이 아닌 사람과 실제 대화하는 듯한 자연스러운 대응이 특징이다. 생성형 AI, 보유 데이터, LLM과 보유 데이터의 결합 등 답변의 범위를 원하는 형태에 맞춰 선택할 수도 있다. 카카오톡, 네이버 톡톡 등 국내 메신저와의 연동을 통한 고객 관리도 가능하다.
베스핀글로벌의 장인수 한국 대표는 “디지털서비스 전문 계약 제도에 정식 등록됨으로써 정부와 공공기관에 대화형 AI를 활용한 챗봇과 콜봇, 가상 상담 어시스트 구축을 빠르고 간단하게 지원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하며, “다양한 상황에서 최상의 결과를 도출하여 경쟁사 대비 높은 정확도를 보장함은 물론, 구축 이후에도 지속적인 운영 관리를 제공하는 것이 강점이다. 베스핀글로벌의 대화형 AI 서비스를 통해 한 차원 더 높은 고객 경험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선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베스핀글로벌, 2023 AWS ‘올해의 글로벌 MSP 파트너상’ 수상
- 베스핀글로벌, 커넥티비티 클라우드 기업 ‘클라우드플레어’와 한국 총판 계약 체결
- 베스핀글로벌, ‘베스핀 게임 나잇(Bespin Game Night)’ 성료… ‘지스타 2023’ 참여 게임 업계 관계자 한자리에
- 베스핀글로벌, 종합 패션 기업 ‘K2코리아’에 멀티 클라우드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비즈니스 연속성 50% 향상
- 베스핀글로벌, 데이터독 ‘골드 파트너’ 등급 획득
- 베스핀글로벌, AWS SaaS 컴피턴시 획득… SaaS 설계와 구축 능력 인정
- 베스핀글로벌, ‘SaaS 기반 차세대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전략’ 세미나 오는 24일 개최
- 베스핀글로벌, 김포국제공항에 AI 챗봇 서비스 공급 “24시간 응답 가능, 공항에 대해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