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가트너 서밋서 공개, 개방형 데이터 레이크하우스 유일 기업 ‘클라우데라’
분산된 데이터 인프라, 거버넌스 위험, 보안 문제 등 AI 구축 지연 해소
미국 기업 53% 생성형 AI 기술 사용 … 클라우데라 통해 데이터 극대화 실현
기업용 AI를 위한 글로벌 데이터 기업 클라우데라(한국지사장 최승철)가 기업의 데이터 경험을 혁신하는 차세대 개방형 데이터 레이크하우스를 공개했다. 클라우데라는 유일한 프라이빗 클라우드용 아파치 아이스버그와 개방형 데이터 레이크하우스 공급업체로, 고객에게 신뢰할 수 있는 분석과 대규모 AI를 지원한다.
클라우데라의 조사에 따르면 현재 미국 기업 53%가 생성형 AI 기술을 사용하며, 3분의 1 이상(36%)이 2024년 잠재적 구축을 위해 AI를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의 경우 63%의 기업이 프로젝트 관리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핵심 솔루션으로 AI를 꼽았다. 하지만 많은 기업들이 분산된 데이터 인프라, 거버넌스 위험, 보안 문제 등으로 인해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데이터로부터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AI 구축이 지연되고 있다.
하지만, 클라우데라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용 아파치 아이스버그를 제공, 기업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기업용 AI 배포를 빠르게 확장해 더 큰 데이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파치 아이스버그는 방대한 데이터 분석 테이블을 위한 오픈소스이다. 이 컴포넌트를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적용하면 기업은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모두에 존재하는 방대한 양의 필수적인 데이터에 AI를 적용, 궁극적으로 새로운 사용 사례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데라는 이제 완전히 분리된 대규모 언어 모델 (LLM) 구축을 진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유일한 기업으로, 고객에게 향상된 보안과 데이터 프라이버시는 물론 더 나은 성능과 운영 비용 절감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클라우데라는 고객 기반 비즈니스 가치를 제공할 플랫폼에 대한 일련의 추가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 비즈니스 연속성 향상과 끊김 최소화를 위한 제로 다운타임 업그레이드(ZDU)와 전송 레이어 보안(TLS) 1.2와 같은 보안 강화
- 쿼터, 스냅샷, 재해 복구 개선 사항과 같은 새로운 아파치 오존 기능으로 최신 워크로드의 막대한 데이터 소비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더 낮은 비용으로 훨씬 더 큰 확장성 제공
- 호환성과 유연성 향상을 위해 파이썬 3.10, RHEL 9.1, RHEL 8.98 FIPS, SLES 15 SP4, 오라클 8.8, JDK 17 등 통합 지원 확대
클라우데라의 최고제품책임자(CPO) 딥토 차크라바티(Dipto Chakravarty)는 “클라우데라의 사명은 고객이 어디서나 복잡한 데이터를 AI를 통해 그 어느 때보다 빠르고 쉽게 실행할 수 있는 인사이트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라며, “분석과 AI를 위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차세대 클라우드 네이티브 솔루션은 필수적인 데이터를 변환하고 혁신적인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말했다.
데이터 분석 컨설팅 업체 산즈모(SanjMo)의 산지브 모한(Sanjeev Mohan) 대표는 “AI 기반 시대에는 기업 데이터의 비즈니스 가치를 크게 높이는 강력한 AI 애플리케이션이 계속 등장할 것”이라며, “기업이 이러한 기술 골드러시를 활용하려면 데이터를 회사 데이터센터에 보관만 해서는 안된다. 기업은 포괄적이고 개방적인 하이브리드 플랫폼을 통해 어디서나 복잡한 데이터를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로 전환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계 3대 통신위성 기업인 유텔샛(Eutelsat) 마테오 카루치(Matteo Carucci) 데이터 분석 책임자는 “아이스버그 커뮤니티는 규모가 매우 크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전 세계에서 채택되고 있다. 클라우데라의 개방형 데이터 레이크하우스와 아이스버그는 다양한 고급 기능을 갖춘 개방형 테이블 형식을 제공하므로 데이터 사용과 유지 관리가 더 쉬워진다. 개방형 테이블 형식은 많은 사용자가 다양한 도구로 데이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중요하다”며, “기업의 데이터는 특정 공급업체가 아닌 기업 전체의 자산이기 때문에 개방형은 기본적인 요구 사항이다. 따라서 개방형 포맷은 향후 기술에 어떤 일이 발생하더라도 데이터에 대한 완전한 소유권을 보장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