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에 본사를 둔 우주 발사체 및 추진 시스템 분야 선도 기업, 지속 가능한 엔지니어링 및 제조 프로세스 비전 강화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주요 유럽 우주 프로그램을 위한 제품 개발 과정에서 효율성, 표준화, 품질, 규정 준수 수준 향상
다쏘시스템의 4가지 산업 특화 솔루션, 아비오와 밸류체인 전반의 실시간 데이터 활용 및 협업 역량 강화

다쏘시스템의 브랜드인 아웃스케일(OUTSCALE)은 11번째 버전 출시를 맞아, 인공지능과 유럽의 디지털 자율성을 주제로 한 연례 행사에서 ‘소버린 경험(Sovereign Experience)’을 핵심 주제로 내세웠다. 아웃스케일은 이번 행사를 통해 데이터 보안, 성능, 통제를 우선시하는 기관 및 기업들을 위한 선구적 역할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5가지 핵심을 발표했다.

  • 미스트랄 AI(Mistral AI)의 챗(Chat): 소버린 모드로 작동하는 엔터프라이즈용 AI 어시스턴트
  • 아웃스케일 클라우드 기반 미스트랄 AI의 ‘라 플랫폼(La Plateforme)’: 엔터프라이즈 AI의 완전한 소버린화
  • 아웃스케일 쿠버네티스 서비스(Kubernetes as a Service): 성능, 복원력, 소버린 강화
  • 서비스형 양자 컴퓨팅(Quantum as a Service, QaaS), 미래 기술의 길을 열다
  • 아웃스케일 × 파리상테 캠퍼스(PariSanté Campus) 파트너십: 디지털 헬스 혁신의 촉매 역할

 

미스트랄 AI(Mistral AI)의 챗(Chat): 소버린 모드로 작동하는 엔터프라이즈용 AI 어시스턴트

2025년 9월부터 아웃스케일은 세크넘클라우드(SecNumCloud) 3.2 인증을 받은 소버린 클라우드에 미스트랄 AI의 다국어 어시스턴트 ‘르 샤(Le Chat)’를 도입하며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아웃스케일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르 샤는 데이터, 도구, 팀을 단일 인터페이스에 통합하여, 보고서, 마케팅 콘텐츠, 코드의 자동 생성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반복적인 작업을 줄이고 오류 발생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르 샤는 내장형 자동 확장 기능 기능을 통해 워크로드(workload)에 따라 컴퓨팅 자원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성능을 유지하고 비용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세크넘클라우드 3.2 인증을 받은 클라우드에서만 독점적으로 제공되어, AI 스택에 대한 완전한 제어와 최고 수준의 보안 및 기밀성 기준 준수를 보장한다.

르 샤는 비즈니스, 마케팅, 재무, 인사, 데이터 과학,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업무 분야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미스트랄 AI의 생성형 기술력과 아웃스케일의 주권 클라우드 역량을 결합해 혁신 가속화, 팀의 민첩성 향상, 조직의 경쟁력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아웃스케일 클라우드 기반 미스트랄 AI의 ‘라 플랫폼(La Plateforme)’: 엔터프라이즈 AI의 완전한 소버린화

아웃스케일과 미스트랄 AI는 아웃스케일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미스트랄 AI의 ‘라 플랫폼’을 공개했다. 이 서비스는 세크넘클라우드 3.2 인증을 받은 인프라 상에서 운영되며, 다쏘시스템과 미스트랄 AI 간의 파트너십을 통해 만들어졌다. 또한, 라 플랫폼은 GPU 사용량을 최대 절반까지 절감하도록 최적화된 오픈소스 및 클로즈드 웨이트(close weights) 모델 카탈로그를 제공한다.

또한 문서 인식 AI(OCR)와 코드 어시스턴트 등 산업 맞춤형 계층 기능이 추가되어, 공공 클라우드의 유연성과 내장된 보안 제어 기능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과 기관은 AI 활용 사례를 빠르게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는 민첩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라 플랫폼은 2025년 9월부터 운영되며, 아웃스케일과 미스트랄 AI의 전문가들이 보안 강화, 성능 최적화, 완전한 제어 권한을 지원한다.

필립 마틴(Philippe Miltin) 다쏘시스템 아웃스케일 CEO는 “디지털 주권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아웃스케일은 이를 예상하고, 가장 중요한 산업과 기관을 위해 최고 수준의 기준을 충족하는 주권 클라우드 인프라를 설계해왔다”며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속에서, 조직들은 자사의 데이터를 스스로 통제하는 것의 중요성을 절실히 깨닫고 있으며, 주권은 비(非)유럽 솔루션에 반대되는 개념이 아니라, 전략적 애플리케이션과 민감한 정보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함으로써 이를 보완하는 요소”라고 말했다.

 

아웃스케일 쿠버네티스 서비스(Kubernetes as a Service): 성능, 복원력, 소버린 강화

아웃스케일 쿠버네티스 서비스 는 각 기업에 전용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수 분 내에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시끄러운 이웃(noisy neighbor) 현상 없이 안정적인 운영 환경을 제공한다.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 오픈소스 표준에 완벽히 호환되며, 퍼블릭 클라우드의 확장성과 관리 서비스의 편의성을 결합한 형태이다. 또한 세크넘클라우드 3.2 인증을 획득한 퍼블릭 클라우드 인프라 상에서 운영되어, 엄격한 규제를 받는 산업에서도 데이터 주권과 기밀성을 보장한다.

  • 멀티 AZ 및 고가용성을 통한 뛰어난 복원력 확보: 2025년 3월 출시 이후 아웃스케일 쿠버네티스 서비스는 유럽 내 두 지역(그중 하나는 세크넘클라우드 3.2 인증 획득)에 걸쳐 멀티 AZ 구성을 지원한다. 각 클러스터는 자동으로 세 개의 가용 영역에 분산 배치되어, 최대 99.95%의 SLA(Service Level Agreement)를 통해 서비스 중단 없이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한다. 또한, 컨트롤 플레인과 워크로드는 이중화되어 있고, VPC(Virtual Private Cloud) 격리와 암호화된 저장소를 통해 높은 수준의 보안도 함께 제공한다.
  • 2025년 9월부터 확장성과 성능 대폭 강화: 9월부터는 가용 영역 간 오토스케일링(cross-AZ autoscaling) 기능이 도입되어, 워크로드에 따라 컴퓨팅 및 스토리지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팟(Pod)은 세 개의 가용 영역에 균등하게 분산 배치되어, 자원 효율성 및 비용 최적화는 물론, 트래픽 급증 시 민첩한 대응이 가능하다.

 

서비스형 양자 컴퓨팅(Quantum as a Service, QaaS), 미래 기술의 길을 열다

양자 컴퓨팅의 부상과 함께 새롭게 대두되는 주권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아웃스케일은 유럽 최초의 완전한 주권 기반 양자 서비스인 ‘서비스형 양자 컴퓨팅’을 출시한다. 서비스형 양자 컴퓨팅은 내장된 오류 보정 알고리즘을 통해 노이즈 없는 계산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서비스형 양자 컴퓨팅은 미래 기술 환경에 대비해 설계되었으며, 조직들에게 다음과 같은 새로운 기회를 열어준다:

  • 신기술에 대한 저위험 접근: 서비스형 양자 컴퓨팅운 성급한 투자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고, 관리형 테스트 환경을 통해 양자 기술 활용 사례에 대한 점진적인 학습과 역량 강화를 가능하게 한다.
  •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 양자 알고리즘은 기존 컴퓨터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문제, 예를 들어 암호 해독과 같은 영역에서 새로운 해법을 제시한다.

서비스형 양자 컴퓨팅은 2025년 11월부터 아웃스케일 데이터 센터를 통해 베타 버전으로 제공될 예정이며, 기업과 기관은 외국 인프라에 의존하지 않고도 24시간 365일 접근 가능한 환경에서 양자 알고리즘 개발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아웃스케일 × 파리상테 캠퍼스(PariSanté Campus) 파트너십: 디지털 헬스 혁신의 촉매 역할

아웃스케일과 파리상테 캠퍼스는 프랑스 및 유럽 전역의 디지털 헬스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협력은 세크넘클라우드 및 HDS(Hébergeur de Données de Santé) 인증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아웃스케일의 클라우드 및 AI 전문성을 바탕으로, 아웃스케일이 디지털 헬스 생태계를 위한 주권 기술 기반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앙투안 테스니에르(Antoine Tesnière) 파리상테 캠퍼스 CEO 겸 교수는 “클라우드와 AI 도구의 활용은 이제 보건 혁신 프로젝트에서 전략적인 요소이며, 아웃스케일과 함께 우리는 스타트업이 자유롭고 고도로 안전한 주권형 환경에서 솔루션을 탐색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이번 파트너십은 차세대 프랑스 헬스 유니콘을 육성하고, 보건의료 시스템의 대전환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공동의 비전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이번 파트너십에는 기업가를 위한 아웃스케일(OUTSCALE for Entrepreneurs) 프로그램을 통한 우선 지원 경로가 포함된다. 해당 프로그램은 엄격한 스타트업 선정 절차, 전문가 멘토링, 전용 클라우드 크레딧 제공 등을 통해 디지털 헬스 스타트업의 성장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또한 공동 행사, 워크숍, 캠퍼스 내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창업자, 연구자, 기관 관계자 간의 활발한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다비드 샤쌍(David Chassan) 다쏘시스템 아웃스케일 CSO는 “아웃스케일의 목표는 디지털 헬스 및 AI 분야의 혁신 기업들이 고성능의 소버린 클라우드 및 AI 서비스를 바탕으로 모든 환자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첫 번째 스타트업 모집은 2025년 여름부터 시작될 예정이며, 아웃스케일과 파리상테 캠퍼스 양측의 전담 팀이 운영 전반을 공동 지원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매드클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