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VM웨어 수요 대응… 전략적 인수로 기술 경쟁력 강화
‘콘트라베이스’, VM웨어 대안으로 부상… 가상화 솔루션 매출 7배 성장 전망
M&A·데이터센터·일본 진출 성과… 프리C 투자 유치 본격화
AI·클라우드 소프트웨어 기업 오케스트로(대표 김범재·김영광)가 클라우드 네이티브 및 서버 가상화 환경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연속 데이터 보호(CDP) 기반 마이그레이션·재해복구(DR) 전문기업 데이타커맨드를 인수했다고 23일 밝혔다. 회사는 이번 인수를 통해 장애·랜섬웨어 등 예기치 못한 사고에 대비한 이중화, 백업, 실시간 복구 체계를 고도화하고 핵심 인프라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오케스트로는 자체 인프라 소프트웨어 ‘콘트라베이스’를 앞세워 클라우드 전환 수요에 대응해 왔다. 이번 거래 이후에는 CDP 기술을 적용한 마이그레이션 전용 툴 ‘콘트라베이스 레가토’를 선보여 VM웨어 기반 시스템 이관부터 재해복구까지 아우르는 전환 체계를 갖췄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이를 통해 고객사에 ‘탈 VM웨어’ 대안을 제시하고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서 기술 주도권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오케스트로에 따르면 2018년 설립 이후 연평균 200% 성장세를 이어왔으며, 공공기관과 대기업, 금융권 등으로 고객군을 확대해 왔다. 2023년 시리즈B에서 1,300억 원을 조달해 기업가치 6,300억 원을 인정받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금융·제조·통신 분야로 사업을 넓혔다고 전했다.
최근 산업 전반에서 프라이빗 클라우드 수요가 커지고 ‘AI 대전환’ 기조가 확산되면서 ‘콘트라베이스’의 신규 도입과 윈백 사례도 늘고 있다는 설명이다. 오케스트로는 가상화 소프트웨어 매출이 전년 대비 7배 이상 늘고, 2025년 전체 매출이 1,000억 원을 넘어 하이퍼그로스 궤도에 진입할 것으로 내다봤다.
M&A 전략도 병행하고 있다. 2024년에는 데이터 온톨로지 기술을 보유한 ‘오케스트로 AGI’를 인수해 생성형 AI 솔루션을 고도화하고 AI·빅데이터 전문 인력 100여 명을 확보했다. 업스테이지 컨소시엄 일원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대표 AI 정예팀’에 선정돼 정부의 데이터·GPU 지원을 기반으로 국내 AI 생태계 내 입지를 넓히고 있다고 밝혔다.
데이터센터 역량 강화도 진행 중이다. 오케스트로는 KT클라우드와 공동 투자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 민관협력형(PPP) 클라우드에서 자사 솔루션을 적용한 운영 환경을 구축해 관제·운영 전문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기반으로 신규 AI 데이터센터 투자를 확대하고 전국 단위 레퍼런스를 늘릴 계획이다.
해외에서는 7월 일본 시장에 진출해 주요 고객을 확보했다. 회사는 VM웨어 의존도가 높은 일본에서 ‘탈 VM웨어’ 대안으로 확산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아시아를 비롯한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오케스트로는 대규모 시리즈C 투자를 앞두고 프리C 전략적 투자 유치에 착수했다. 김영광 CTO는 “인프라 소프트웨어는 성능과 함께 연속성·안정성·신뢰성이 핵심”이라며 “이번 인수를 통해 마이그레이션과 가상화 전환 역량을 강화하고, AI와 클라우드를 아우르는 기술력을 기반으로 시장 대응력과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 오케스트로 AGI, KISA 지능형 CCTV 인증 획득… 오케스트로 ‘AI 투자’ 확대 박차
- 오케스트로, ‘AI 퍼스트 시대’ 클라우드 전략 제시... ‘Early Access Tech Forum’ 성료
- 오케스트로-SR, 철도 운영 분야 AI 도입 위한 업무협약 체결…공공부문 AX 확산 가속
- 오케스트로, ‘Beyond VMware 2025’ 웨비나서 가상화 전환 전략 발표
- 오케스트로, ‘SR-MaaS 통합정보시스템 운영환경 구축사업’ 인프라 고도화 나서
- 오케스트로, ‘통합지방재정 재해복구 시스템 구축 사업’ 우선협상자 선정… 공공부문 첫 실시간 DR 체계 구축
- 오케스트로, ‘K-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밋 2025’서 기조강연 진행…AI 시대 DR 전략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