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돔 프로젝션 실습으로 예술-기술 창·제작자 역량 강화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와 (재)예술경영지원센터(대표 김장호) 산하 아트코리아랩이 공동 주최한 국제 예술-기술 프로그램 ‘2025 AKL × C-LAB 예술-기술 워크숍’이 지난 9월 15일부터 19일까지 5일간의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워크숍은 2023년 10월, 예술경영지원센터와 대만 당대문화실험장(C-LAB) 간 체결된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추진된 국제 협력 프로그램으로, 아시아 예술-기술 분야를 선도하는 양국 기관 간의 전략적 협업이 돋보였다. 특히, 대만 C-LAB은 반구형 돔 구조의 공연·전시장과 인공지능(AI) 기반 기술 인프라를 갖춘 기관으로, 창작부터 연구, 전시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아트코리아랩은 지난해 대만에서 개최된 ‘퓨처 비전 파티(Future Vision Party)’에 국내 예술가 2팀의 참가를 지원하며 실질적인 교류의 물꼬를 튼 바 있다. 올해는 서울 종로에 위치한 아트코리아랩에서 AI 기반 돔 프로젝션 기술을 주제로 한 워크숍을 직접 개최함으로써, 국내 예술-기술 창·제작자들의 역량 강화를 꾀하고 국제적 네트워크 확장을 도모했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C-LAB 퓨처 비전 랩(Future Vision Lab) 디렉터이자 기술 미디어 플랫폼 R&D 책임자인 워릭 차이(Warrick Tsai), ▲타이베이 국립예술대학 왕 리엔천(WANG Lien-chen) 조교수, ▲뉴미디어 아티스트 청 셴유(CHENG Hsien-Yu) 등 대만 현지 전문가들이 강연과 멘토링에 참여했다.
국내에서는 사전 심사를 통해 선발된 10명의 예술-기술 융합 창작자들이 참가했으며, AI 기반의 돔 프로젝션 기술을 실제 돔 구조물에 적용해보고, VR 시뮬레이션을 통해 창작물을 시연하는 과정까지 직접 경험하는 뜻깊은 시간이 마련됐다.
이수령 아트코리아랩 본부장은 “이번 협력 워크숍은 국내 예술인들이 AI와 돔 구조물이라는 첨단 기술을 창작 도구로 접할 수 있었던 값진 기회였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교류 및 유통 사업을 확대하여 국내 예술가들의 해외 진출과 기술 기반 창작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C-LAB의 워릭 차이 디렉터는 “이번 워크숍은 단순히 AI 기술을 습득하는 수준을 넘어, AI 사회에 대한 문화적 담론을 예술가들이 함께 탐색했다는 점에서 매우 인상 깊었다”고 평가했다. 참여 작가 이뿌리는 “AI를 단순한 기술이 아닌 창작 도구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상상 속에만 있던 C-LAB의 돔 환경을 직접 시뮬레이션하며 새로운 비전을 구체화할 수 있어 의미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아트코리아랩은 프랑스의 ‘뉴이미지 페스티벌(NewImages Festival)’, 스페인의 ‘소나르+D(Sónar+D)’, ‘국제전자예술심포지엄(ISEA)’ 등 해외 유수 기관과 협업해 국내 융합예술 작가와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글로벌 교류·유통 지원 사업’을 운영 중이다. 올해 하반기에는 세계 최대 콘텐츠 축제 ‘SXSW 시드니(South by Southwest Sydney)’와 세계적 컴퓨터 그래픽 콘퍼런스 ‘시그라프 아시아(SIGGRAPH Asia)’ 등을 통해, 국내 예술계의 국제적 입지를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