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문화예술교육의 주제별 포럼을 통한 사례 및 성과 공유
생애주기·지역 기반 교육진흥원의 4가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연계
발제, 사례발표, 대담, 토론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성과 의미 해석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원장 박은실, 이하 교육진흥원)은 2023 대한민국 문화예술교육 축제 기간을 맞아 27~30일 나흘간 사회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주제별 성과공유 포럼 4개 행사를 연이어 개최한다.

포럼은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성과공유 포럼-일상의 틈 ▲창의예술교육 랩 지원사업 성과공유 포럼-질문의 습격 ▲문화예술교육사 현장 역량강화 사업 결과공유 포럼 ▲지역 문화예술교육 성과와 미래-문화예술교육 계(契)로 구성된다.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성과공유 포럼-일상의 틈>은 ‘일상 속 누구나 함께 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주제로 27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YTN뉴스퀘어 1층에서 열린다. 아동·청소년 중심에서 전 생애주기 대상으로 개편된 꿈다락 문화예술학교(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다.

▲문화예술단체 에이비씨랩(ABC LAB)의 오프닝 공연을 시작으로 ▲내 삶에 찾아온 낯선 문화예술교육(자연미술학교 홍덕은 대표·남혜숙 참여자, 유한회사 이랑고랑 김경은 강사) ▲문화예술교육 거점 공간이 이끌어낸 변화(고래문화재단 임재동 대리·통합예술교육연구소 나르샤 이은혜 대표, 복합문화지구 누에 김진아 단장) ▲‘프로그램 가이드북’과 함께한 2023년 꿈다락(중부대 현혜연 교수, 콘텐츠잇다 김용현 대표, 소수정 작곡가) 발제와 ▲일상 속 예술교육의 의미와 활성화 방안(JTBC 신영광PD, 한국방송통신대학 성연주 교수 및 발제자) 주제의 토론이 진행된다.

<창의예술교육 랩 지원사업 성과공유 포럼-질문의 습격>은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관점과 시도’를 주제로 창의예술교육 랩의 5년간 성과와 의미를 공유하는 자리로, 29일 서울 명동의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개최된다.

행사는 ▲창의예술교육 랩 참여 지역 총 10개소 별 추진체계와 성과주제의 기조발제(중부대 현혜연 교수)와 함께, 2가지의 사례 발표로 ▲질문을 던지는 사람의 발견(경북·광주·제주 지역 관계자) ▲새로운 질문에 대한 도전, 그리고 실패(서울 강남·부산·전북 지역 관계자)을 준비했다. 또한, ▲창의예술교육 랩이 지역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가져온 변화와 지속해야 할 의미(중부대 현혜연 교수, 메타기획컨설팅 최도인 본부장, 한국예술종합학교 손경환 팀장, 경북문화재단 남희종 팀장, 제주문화예술재단 천민권 팀장, 교육진흥원 원혜정 주임)를 주제로 한 패널토크가 진행될 예정이다.

29일 연세대 세브란스빌딩 대회의실에서 개최되는 <문화예술교육사 현장 역량 강화 사업 결과공유 포럼>은 ‘문화예술교육사의 성장 일대기’를 주제로  ▲우리가 힘을 모을 수 있다면 ▲현장에서 발견한 나의 성장 기록 등 2가지 세션이 진행된다.

우리가 힘을 모을 수 있다면 세션에서는 ▲김혁진 모두학교체험학습연구소 연구위원이 진행을 맡아 ▲경기도자박물관 김한강 문화예술교육사 ▲경기도자박물관 박현아 선임 ▲남가람박물관 윤현화 문화예술교육사가 협력 사례를 발표한다. 현장에서 발견한 나의 성장 기록 세션에서는 ▲구로문화재단 하정인 문화예술교육사 ▲영월문화관광재단 김이령 문화예술교육사 ▲대전중구문화원 홍지혜 담당이 경험 사례를 나눈다.

마지막 순서인 <문화예술교육 계(契) - 2023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성과와 미래 포럼>은 30일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17개 시·도 지역 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장의 주제발표, 대담, 토론으로 연이어 진행한다.

대담에는 ▲가톨릭대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임학순 교수가 좌장을 맡고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최윤진 팀장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황연정 팀장 ▲충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전영주 팀장 ▲메타기획컨설팅 최도인 본부장 ▲교육진흥원 노준석 사회문화예술교육본부장이 대담자로 참여한다.

종합토론에는 ▲메타기획컨설팅 최도인 본부장이 좌장을 맡으며 ▲국토연구원 차미숙 선임연구위원 ▲충남대 윤주선 교수 ▲아르코예술기록원 이한신 원장 ▲서울연구원 백선혜 선임연구위원 ▲충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정경욱 팀장 ▲춘천문화재단 강승진 센터장이 토론자로 나선다.

교육진흥원 박은실 원장은 “교육진흥원이 펼치는 사회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여러 정책사업의 성과·의미를 공유하는 자리가 대한민국 문화예술교육 축제의 마지막 주를 장식한다. 생애주기 이슈·각 지역의 특성 및 문제의식이 반영된 문화예술교육 콘텐츠의 우수사례를 나누고 발굴하는 자리가 되었으면 좋겠다”며 “앞으로도 중앙-지역 문화예술교육 전문가·관계자, 문화예술교육사 등 다양한 주체들과의 긴밀한 협업구조를 통해 모든 국민의 일상에 문화예술교육이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매드클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