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관광 활성화 위한 '국가대표 음식관광 콘텐츠 33선’ 선정… 지역 맛집 찾는 외지인, 현지인 대비 4.8배↑
지역 대표로 선정된 음식 외 他음식(닭강정 등) 판매 중인 현지 식당 결제 건수… 외지인, 현지인 대비 7.2배↑
기간內 외국인 결제 건수 중 가장 많았던 음식은 '치킨'… '간장게장', '국수', '국밥' 등 전통 한식 순위도 올라
외국인, 한국 전통 음식에도 관심… 국내 교통수단 이용해 지역 음식점서 결제한 건수 2년새 7배 이상 증가
대전 등 유명 제과점 지역內 외국인 결제 건수, 2년만에 2배 증가… 한국서 유행 중인 '빵지순례'에 참여도
BC카드(대표이사 사장 최원석)가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와 한국관광공사에서 발표한 '국가대표 음식관광 콘텐츠 33선'과 관련된 데이터 분석자료를 5일 발표했다.
'국가대표 음식관광 콘텐츠 33선'은 지난 7월 문체부와 한국관광공사가 방한 관광객 유치 전략의 일환으로 음식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선정해 발표한 자료다.
BC카드는 33개의 콘텐츠 중 식재료, 전통주를 제외한 15개 대표 음식[1]에 대한 3년치소비 데이터를 내국인(현지인, 외지인)과 외국인으로 분류해 분석을 진행했다.
먼저 지역 대표 음식을 현지에서 판매 중인 식당에서의 외지인(해당 지역外 거주 고객) 결제 건수는 지역에 따라 현지인 대비 최대 4.8배까지(강릉) 차이났다.
지역 대표 음식으로 선정된 메뉴 외 외지인이 선호하는 음식들도 다수 확인됐다.
강릉(순두부)의 경우 '물회' 및 '닭강정'을 판매 중인 식당에서 외지인이 결제한 건수가 현지인 대비 각각 3.0배, 7.2배 이상 높았다. 제주(돼지고기), 대구(치킨), 담양(떡갈비) 지역 내'국수'와 관련된 결제 건수 역시 현지인 대비 최대 5.1배 이상 높았다.
드라마, 영화 등 한류 열풍으로 인해 다양한 음식들이 전 세계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지난 3년 동안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국 음식 순위에도 다양한 변화가 발생됐다.
15개 지역 내 외국인이 식당 업종에서 결제한 세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치킨' 및 '중국집'에서의 결제가 여전히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낮은 순위를 기록 중이던 '간장게장'이나 '국밥’, '순두부'와 같은 전통 음식들의 순위가 높아지는 등 올해 들어 이색 음식에 대한 외국인 관심도가 급증한 것이 확인됐다.
한국 전통 음식에 대한 관심도 증가는 해당 음식이 유명한 지역을 외국인이 직접 찾아가 소비하는 현상으로 이어졌다. 최근 3년간 국내 교통수단(고속버스, 철도, 렌터카)을 이용한 외국인이 15개 지역 내 식당 업종에서 결제한 금액 및 건수는 교통수단을 이용하지 않은 외국인 보다 50%가량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국 각지로 음식점을 찾아다니는 외국인들은 제과 업종 매출에도 영향을 끼쳤다.
지역별 제과 업종 매출 상위 5곳씩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해당 업종에서 발생된 외국인 결제 건수가 지난 2년새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해당 기간 내 외지인의 결제 건수 증가율(+57%) 대비 3배(+141%)가량 차이나는 등 한국에서 유행 중인 '빵지순례'가 외국인 사이에서도 유행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오성수 BC카드 상무는 "한국관광공사에서 발표한 지역별 대표 음식자료가 실제 고객의 소비 패턴과 대부분 일치했고, 분석 과정 중 외국인 관광객의 소비 패턴에도 변화가 발생되고 있음을 확인했다"면서 "데이터 분석 기반의 지속적인 인사이트 제공을 통해 정부 목표 달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경기 침체 속에서도 줄일 수 없었던 '여행' 소비
- 국내 거주 외국인 근로자, 나를 위한 저축과 소비한다
- 지속되는 高유가, 高연령층 주유 소비 감소로 이어져
- 반년만에 매출 7배 이상 폭증한 해외 QR결제 서비스, "대표 관광거리 상점가만 수혜, QR없는 백화점은 제자리"
- 계속되는 고금리에 줄어드는 소비... 노년층 점심 패턴도 변했다
- e커머스 정산지연 여파?… 오프라인 쇼핑 매출, 온라인 넘어섰다
- BC카드, 전국민 작사 공모…‘바로카드송·자립청년송’ 만든다
- 어차피 비싼 외식이면 차라리… 가성비 찾아 뷔페찾는 Z세대
- 프로야구 1천만 관중 돌파 핵심 키워드… ‘원정팬’, ‘20대’, ‘여성’
- 유가 진정되자 10월 주유 소비, 전년 대비 10% ‘뚝’
- 출산율 감소, 가계 지출 최후의 보루 교육비마저 무너트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