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많은 나라들은 모두 중국으로부터 거액의 대출을 받았다. 이를 중국이 정치적 영향력을 얻기 위해 갚을 능력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국가에 고의적으로 차관을 제공하는 '부채함정외교(debt-trap diplomacy)'라고 부른다.

비주얼 캐피털리스트는 미중 경제안보검토위원회(US-China Economic and Security Review Commission)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국으로부터의 총 대출액에 따라 부채가 많은 국가를 그래픽으로 표현했다.

중국의 대출 대부분은 글로벌 인프라에 대한 중국의 광범위한 투자, 즉 일대일로 이니셔티브(BRI)의 일부이다. 2013년에 시작된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는 중국의 가장 야심찬 인프라 프로젝트 중 하나로 철도, 에너지 파이프라인, 고속도로, 간소화된 국경 통과로 구성된 방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 과정에서 중국 국영 채권단은 자원이 풍부한 국가, 특히 아프리카에 대한 외화 표시 대출 제공을 빠르게 확대했다. 부채가 많은 15개국 중 14개국은 아프리카 국가로, 수단, 니제르, 모잠비크, 차드, 콩고민주공화국 등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들이 대부분이다. 목록에 포함된 유일한 비아프리카 국가인 볼리비아 역시 남미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하나이다.

중국은 인프라에 대한 우선적 접근권을 얻는 것 외에도 정치적 동맹국을 확보하고 있다. 콩고 공화국과 같은 대출이 많은 국가들은 홍콩과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입장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출처 비주얼 캐피털리스트
출처 비주얼 캐피털리스트

 

저작권자 © 매드클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