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주요 건강 관련 앱 업종별 사용자 전년 동월 대비 증가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건강 관련 앱 업종은 ‘건강 지표’

실시간 앱·결제 데이터 기반 시장/경쟁사 분석 솔루션 와이즈앱·리테일이 주요 건강 관련 앱의 MAU(월간 활성 사용자 수)를 조사해 발표했다.

와이즈앱·리테일이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Android+iOS)를 표본 조사한 결과, 2025년 7월 건강 관련 앱 업종별 사용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가장 많은 사용자 수를 보유한 업종은 삼성 헬스(Samsung Health), 인바디(InBody), 파스타, 앳플리, 가민 커넥트(Garmin Connect) 앱이 포함된 ‘건강 지표’로, MAU 1,154만 명을 기록했다.

그 뒤로 나이키(Nike), 아디다스(adidas), 젝시믹스 앱이 포함된 ‘스포츠 의류’가 220만 명, 손목닥터9988+ 앱이 포함된 ‘종합 건강’이 186만 명, 타임스탬프, 인아웃, 필라이즈, 플랜핏 앱이 포함된 ‘다이어트/식단’이 186만 명, 나이키 런 클럽(Nike Run Club), 런데이, 런키퍼(RunKeeper) 앱이 포함된 ‘러닝’이 134만 명, 솜니아, 슬립 사이클, 수면분석 앱이 포함된 ‘수면’이 29만 명 순으로 집계됐다.

건강 관련 앱 업종별로는 건강 지표 부문에서는 ‘삼성 헬스(1,021만 명)’, 스포츠 의류 부문에서는 ‘나이키(184만 명)’, 종합 건강 부문에서는 ‘손목닥터9988+(186만 명)’, 다이어트/식단 부문에서는 ‘타임스탬프(99만 명)’, 러닝 부문에서는 ‘나이키 런 클럽(70만 명)’, 수면 부문에서는 ‘솜니아(11만 명)’가 각각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 7월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건강 관련 앱 업종은 ‘종합 건강’으로, 전년 동월 대비 월간 사용자 수가 118% 증가했다. 그 뒤를 이어 ‘러닝’ 73%, ‘스포츠 의류’ 27%, ‘수면’ 18%, ‘다이어트/식단’ 14%, ‘건강 지표’ 10% 순으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실시간 앱·결제 데이터 기반 시장/경쟁사 분석 솔루션 와이즈앱·리테일이 한국인 안드로이드와 iOS 스마트폰 사용자 표본 조사로 실시했다.

저작권자 © 매드클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