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형 이동수단(Personal Mobility, PM) 시장에서 공유 전기자전거 및 전동킥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쿠》가 일일 활성 사용자 수 기준으로 국내 공유 자전거 및 킥보드 앱 중 1위에 올랐습니다. 계절에 따른 수요 변화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높은 사용자 충성도를 유지하며 선두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습니다.
《지쿠》, 아시아 공유 자전거 및 킥보드 앱 중 일일 활성 사용자 수 2위… 한국에서는 1위
한국 모빌리티 기업 지바이크(Gbike)가 운영하는 공유형 전기자전거 및 전동킥보드 서비스 《지쿠》는,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하게 자전거 및 킥보드를 대여할 수 있으며, 주로 도심 내 단거리 이동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지쿠》 전체 일일 활성 사용자 수의 91.7%를 차지했으며, 태국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지쿠》는 지난 3년간 아시아 지역 공유 자전거 및 킥보드 앱 중 일일 활성 사용자 수 기준 2위를 기록했는데요. 특히 한국 시장에서의 높은 사용량만으로 아시아 시장 상위권에 오른 점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한국 사용자들의 높은 이용률을 잘 보여줍니다.
한국에서는 1위를 차지하며, 자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습니다.
《지쿠》는 상위 공유 자전거 및 킥보드 앱 중 가장 높은 리텐션을 기록하며 사용량 뿐만 아니라,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충성도와 지속적인 이용 측면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오가닉 성장, 사용량이 높은 시즌에 맞춘 이벤트, 젊은 사용자들을 사로잡은 친환경 이미지 등으로 인기
한국 시장에서 《지쿠》의 전체 다운로드 중 81.9%가 오가닉 채널을 통해 발생했으며, 이는 상위 공유 자전거 및 킥보드 앱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치입니다. 가장 높은 비중은 86.2%로 《서울자전거 따릉이》가 기록했는데, 이 앱이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공공 서비스라는 점을 고려하면, 민간 기업으로서 《지쿠》의 성과는 더욱 주목할 만합니다.
센서타워 키워드 랭킹 데이터에 따르면, 《지쿠》의 다운로드 수를 가장 많이 이끈 검색어는 앱 이름인 ‘지쿠’였습니다. ‘자전거’와 같은 핵심 서비스 관련 검색어로도 결과 페이지 2위에 노출되며 《지쿠》의 유저 획득에 기여했습니다. 또한, ‘빔’, ‘일레클’, ‘킥고잉’ 등 경쟁사 앱 이름으로 결과 페이지 상위 3위 내에 랭크되며 오가닉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대부분의 다른 모빌리티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지쿠》 역시 겨울철에는 사용량이 감소하고, 봄, 여름, 가을에 증가하는 뚜렷한 계절 트렌드를 보입니다. 이에 따라 《지쿠》는 성수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2024년 6월 ‘지쿠와 함께하는 여름 무제한 할인’이라는 이벤트를 진행했습니다.
에코 라이드 챌린지에 참여해 에코 포인트를 적립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무제한으로 할인받을 수 있는 이 친환경 테마 이벤트로 2024년 평균 일일 활성 사용자 수를 전년 동기 대비 약 20% 끌어올리는 인상적인 성과를 거뒀습니다.
또한, 센서타워 오디언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상위 앱들에 비해 《지쿠》는 Z세대와 MZ세대 사용자 층이 약 80%로 가장 높았는데요.
원활한 대여, 간편한 결제, 실시간 추적 등 기술을 바탕으로 편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 것도 젊은 세대 층을 사로잡는데 한 몫했지만, 《지쿠》의 에코포인트 시스템, 지속가능한 테마를 중점으로 한 다양한 캠페인, 녹색 로고와 브랜드 색상은 기후 변화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의식이 높은 Z세대와 MZ세대 소비자들에 강하게 어필했습니다.
《지쿠》의 친환경 이미지는 젊은 사용자 층에게 큰 공감을 얻으며,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식은 사용자 리뷰에도 반영되어 있는데요. 많은 사용자가 《지쿠》의 친환경성을 만족도의 핵심 요소로서 긍정적으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 《네이버 지도》 일일 활성 사용자 수 역대 최고치 달성… 지도 및 내비게이션 앱 중 독보적 1위
- 아모레퍼시픽, 미국 디지털 광고 노출 수 2위 기록... 83% 매출 성장
- 《챗GPT》 다운로드 당 매출, 한국이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아
- "우리동네GS",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편의점 앱 중 다운로드 및 사용량 1위
- 유럽 주요 시장에서 전자제품 디지털 광고는 약 10억달러에 달해… 삼성은 광고 노출에서 선두 달려
- 패스매틱스, 한국에서 유튜브 및 틱톡 광고 데이터 커버리지 확대… 유튜브는 ‘게임’, 틱톡은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가 가장 높은 노출
- 전 세계 식품 및 외식 앱 다운로드가 20억 건에 달하며 증가세 보여… 국내에서는 쿠팡이츠가 다운로드 1위
-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전체 앱 다운로드 1위 달성… 다양한 광고 채널 활용과 네이버 생태계 연계로 사용자 유입 및 앱 성장 견인
- 숏폼 드라마 앱 수익, 전년 대비 3배 증가해 7억달러 육박… 드라마박스·릴숏 선두, DramaWave 등 신규 앱도 급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