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타워가 한국에서 패스매틱스의 광고 채널 커버리지를 유튜브와 틱톡으로 확장했습니다. 국내 디지털 광고 시장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브랜드들은 그 어느 때보다 정확하고 실행 가능한 데이터를 필요합니다. 이번 확장을 통해 패스매틱스는 유튜브와 틱톡 전반의 광고 트렌드를 파악하고, 브랜드들이 더욱 정밀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메타 채널에 이어 유튜브, 틱톡까지… 한국 내 광고 채널 커버리지 확장
패스매틱스(Pathmatics)는 센서타워의 디지털 광고 인사이트 솔루션으로, 미국, 호주, 일본, 독일 등 주요 시장을 물론, 한국에서도 주요 플랫폼의 광고 데이터를 투명하게 추적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X(구 트위터), 유튜브, 틱톡, 모바일 앱, OTT, 디스플레이 광고까지 다양한 채널을 분석할 수 있으며, 광고비 및 노출 수 추정치, 광고 점유율(Share of Voice, SOV), 광고 소재, 브랜드 전략 등을 폭넓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패스매틱스는 글로벌 브랜드들이 디지털 광고 전략을 벤치마킹하고 최적화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지난해 메타의 주요 플랫폼인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데이터가 확대된 데 이어, 최근 유튜브 및 틱톡 채널 데이터까지 추가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국내 디지털 광고 분석의 깊이를 더하고, 한층 더 최적화된 광고 전략을 수립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한국 유튜브 광고 트렌드 분석: 광고비는 성장세, 노출수는 게임 카테고리가 주도
한국 유튜브 광고 시장에서 광고비는 꾸준히 증가하며 유튜브가 광고 채널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노출 수 또한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나, 지난 3월과 4월 사이에는 약 2% 소폭 감소했습니다. 이는 일시적인 광고 집중 시기와 경쟁 심화의 영향 등으로 해석해볼 수 있습니다(2025년 2월 1일부터 5월 20일까지 패스매틱스가 수집한 유튜브 인앱, 모바일, 데스크톱 동영상 등 기준).
한국 시장 유튜브 채널에서 광고비와 노출 수 기준 상위 10개 광고주를 살펴보면, Joy Net Games, Century Games, NHN 3개의 게임 광고주가 광고비 순위 대비 더 높은 노출 수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광고 지출 순위에서 9위에 올랐지만, 노출 수에서는 2위에 랭크된 Joy Net Games를 주목할만한데요.
Joy Net Games는 디지털 광고 예산 중 가장 많은 비중인 39%를 유튜브에 할당하여 신작 타이틀 《비지 세이비어》, 《갓깨비 키우기》 광고를 집행했습니다. 노출 수에서 유튜브 비중은 67%에 달해, 광고비 대비 매우 효율적인 노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한국 시장에서 현재 이용 가능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 모바일 앱 채널 전체 광고비와 노출 수 기준).
한국 유튜브에서 카테고리별 광고 지출과 노출 수 비중을 살펴보면, 게임 카테고리가 모두에서 선두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역동적인 게임 플레이와 트레일러와 같은 게임 광고 소재가 동영상 중심의 플랫폼인 유튜브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음을 시사합니다.
소프트웨어 카테고리는 광고 지출 순위에서 7위를 기록했지만, 노출 수 순위에서는 5위를 차지했습니다. 소프트웨어 카테고리 노출 수에서 32%를 차지한 Adobe Creative Cloud가 이러한 결과를 주도했는데, 특히 생성형 AI 기능이 강조된 광고 소재가 오디언스의 이목을 끈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국 틱톡 광고 트렌드 분석: 광고비는 3월에 역대 최고치, 노출수는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가 가장 높은 성과 기록
틱톡 광고 채널은 유튜브 채널과 마찬가지로 광고비와 노출 수 모두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틱톡 광고비는 전년 동기 대비 1.4배 증가했으며, 2025년 3월에는 광고비와 노출 수 모두 정점을 찍었습니다(2024년 1월 1일부터 2025년 5월 20일까지를 패스매틱스가 수집한 틱톡 피드, 동영상 광고, 캐러셀 광고 등 기준).
한국 틱톡 채널의 광고비 및 노출 수 기준 상위 10개의 광고주 순위는 동일했습니다. 이는 상위 광고주들의 광고 예산이 효과적으로 노출로 전환됐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DramaBox, SpoonLabs, Short Max와 같은 숏폼 드라마 서비스 플랫폼들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틱톡의 숏폼 중심 오디언스와의 강력한 시너지 효과에 대해 광고주들이 갖는 기대감과 그에 상응하는 성과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틱톡 채널에서는 숏폼 드라마 플랫폼의 약진이 두드러지며, 게임 카테고리가 주도하는 유튜브 채널과는 달리 틱톡은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가 광고 지출과 노출 수 모두에서 선두를 차지했습니다.
틱톡 채널의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에서 노출 수 기준 상위 광고 소재를 살펴보면, Short Max의 ‘부인, 제가 잘못했어요’ 에피소드를 활용한 광고 소재가 노출 수 기준 1위에 올랐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해당 광고 영상 길이가 25분 가까이 된다는 것입니다. 숏폼 플랫폼인 틱톡에서 이례적으로 긴 영상 광고가 높은 노출 수를 달성한 것은 인기 숏폼 드라마를 활용한 광고의 스토리텔링이 오디언스의 몰입도를 극대화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전체 에피소드를 보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와 같은 명확한 콜투액션으로 영상을 마무리하며 단순 노출을 넘어 사용자 행동을 효과적으로 유도했습니다.
한편, 센서타워 패스매틱스는 웹에서 디지털 광고 샘플을 수집합니다. 디지털 광고 환경에 대한 가장 완벽한 그림을 보고하기 위해 모바일 앱, 데스크톱, CTV 기기 등을 포함한 패널과 웹사이트 샘플링, 미디어 등을 포함한 데이터 애그리게이터라는 두 가지 주요 데이터 소싱 기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 유럽 주요 시장에서 전자제품 디지털 광고는 약 10억달러에 달해… 삼성은 광고 노출에서 선두 달려
- 《지쿠》, 국내 공유 자전거 킥보드 앱 중 일일 활성 사용자 수 1위… 치열한 경쟁 속에서 높은 사용자 충성도 유지
- 《네이버 지도》 일일 활성 사용자 수 역대 최고치 달성… 지도 및 내비게이션 앱 중 독보적 1위
- 아모레퍼시픽, 미국 디지털 광고 노출 수 2위 기록... 83% 매출 성장
- 《챗GPT》 다운로드 당 매출, 한국이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아
- 전 세계 식품 및 외식 앱 다운로드가 20억 건에 달하며 증가세 보여… 국내에서는 쿠팡이츠가 다운로드 1위
-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전체 앱 다운로드 1위 달성… 다양한 광고 채널 활용과 네이버 생태계 연계로 사용자 유입 및 앱 성장 견인
- 숏폼 드라마 앱 수익, 전년 대비 3배 증가해 7억달러 육박… 드라마박스·릴숏 선두, DramaWave 등 신규 앱도 급성장
- 올리브영, 5월 활성 사용자 수 역대 최고치 기록… 전 세계 뷰티 리테일 앱 중 유일하게 글로벌 상위권에 진입한 한국 앱
- 동남아,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 기록… 베트남 개발사, 글로벌 다운로드 성장 주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