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한무영 교수 출연해 기후위기와 자연재해 극복 위한 방안으로 ‘빗물’ 제시
성공사례 소개… 3천톤 규모 빗물저장소 설치해 연간 약 4만톤의 빗물 재활용, 수돗물 사용량 20% 절감
‘세계 비의 날’ 제정 추진, 캄보디아 교육부와 레인스쿨 설립 MOU체결 등 빗물 중요성 알리기 위해 노력

희망친구 기아대책과 LG화학의 교육사회공헌사업 ‘라이크그린’은 ESG 문화를 소개하는 유튜브 채널 ‘대담해’를 통해 ‘빗물을 통한 기후위기 대처’를 주제로 대담을 진행했다고 10일 밝혔다.

최근 파키스탄과 미국 텍사스를 덮친 기습 폭우, 국내 강릉 지역의 가뭄 등 이상기후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번 대담에는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한무영 교수가 참여해 LG화학 Global CSR팀 이영준 팀장과 함께 자연재해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한 교수는 수처리 전문가로서,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대안으로 빗물의 활용 가능성을 강조했다. 그는 빗물이 일반 하천수보다 오염도가 낮아 처리에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산성비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활용이 제한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빗물에 대한 이해가 기후위기 해법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례로는 서울 광진구의 한 주상복합 건물에서 운영 중인 3천 톤 규모의 빗물 저장 시설을 소개했다. 해당 시설은 연간 약 4만 톤의 빗물을 재활용해 수돗물 사용량을 20% 가량 절감하고 있으며, 운영비를 제외하면 연간 약 400만 원의 수도요금을 절약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홍수 예방 효과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 교수는 빗물 자원의 인식 개선을 위해 유엔에 ‘세계 비의 날’ 제정을 제안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에 레인스쿨을 설립해 빗물 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캄보디아 교육부와 협력해 1,000개 학교에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하는 사업도 추진 중이다.

대담을 접한 시청자들은 빗물의 새로운 가치와 기후위기 대응 자원으로서의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LG화학 이영준 팀장은 이번 대담을 통해 빗물 관리가 단순한 기술을 넘어 기후위기 대응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ESG 문화를 확산하는 채널로서 앞으로도 빗물 인식 개선에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기아대책과 LG화학은 2021년부터 라이크그린을 통해 ESG 교육 사회공헌 활동을 진행해왔으며, 2023년부터는 유튜브 채널 ‘대담해’를 통해 환경, 과학, 사회 문제를 쉽게 전달하는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작하고 있다.

 

저작권자 © 매드클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