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빼고 다 올랐다는 말이 그 어느 때보다 실감나는 요즘이다.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의 타격으로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삶의 질이 팍팍해진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높아지는 생활비 부담에 사회 전반에서 여러 긴축 노력들이 포착되고 있는 가운데, 걷기만 해도 돈을 벌 수 있는 ‘워킹테크(워킹+재테크) 앱(App)’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걷기 앱, 만보기 앱으로 불리는 ‘캐시워크’, ‘발로소득’이 대표적인 예로, ‘걸어서’ 모은 포인트는 카페, 편의점, 외식 등 다양한 상품권으로 교환할 수 있어 소소한 용돈벌이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는 추세다. 특히, 짠테크 유행에 힘입어 2030세대 기반으로 크게 성장했던 워킹테크 앱에 4050세대의 유입이 급증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워킹테크 앱’에 4050세대가 몰린 이유... 소소하지만 확실한 용돈 벌이, ‘짠테크’
마크로밀 엠브레인 패널빅데이터®의 ‘건강관리 앱’ 관련 분석에 따르면,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걷기 앱’이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50세대를 중심으로 ‘캐시워크’ 앱 이용 비중이 두드러진 결과를 보인 것으로(20대 13.0%, 30대 21.0%, 40대 31.7%, 50대 34.3%), 걸음 수를 기부할 수 있는 ‘빅워크’ 앱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20대 13.7%, 30대 19.8%, 40대 30.0%, 50대 36.5%). 일상 속에서 ‘쉽고 간편하게’ 돈을 벌거나 ‘소소한 기부’를 실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해당 앱에 대한 고연령층의 접근성이 보다 높아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캐시워크 앱의 경우 2024년 1월 기준 2022년 1월 평균 대비 이용률이 소폭 증가(13.9%)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생활비를 조금이라도 아껴보자는 심리가 작용된 것으로 짐작된다. 이는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지난해 4월 자체 조사한 결과에서도 유사한 흐름을 살펴볼 수 있었다. 고연령층일수록 ‘짠테크’에 대한 호감도가 타 연령층 대비 두드러진 결과를 보였는데(20대 49.2%, 30대 52.8%, 40대 56.4%, 50대 57.6%), <티끌 모아 태산>이란 신념에 동의하는 비율이 높은 만큼(20대 47.6%, 30대 46.8%, 40대 53.2%, 50대 64.0%) 4050세대가 소소한 소득을 얻기 위한 일환으로 캐시워크와 같은 앱을 적극 활용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건강 관리를 기반으로 한 워킹테크 앱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 요즘, 중장년층의 ‘짠테크’ 흐름이 앞으로 어떤 영향을 가져오게 될지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 마크로밀 엠브레인 패널빅데이터®: 패널들의 실제 행동 데이터(앱, 방문, 결제)를 수집, 조사와 결합하여 소비자를 다각도로 볼 수 있는 빅데이터
[2] 2023 짠테크 관련 인식 조사(2023. 04) 마크로밀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 자율주행차 상용화, ‘디지털 세대’가 더 불안해한다?
- ‘토스’ 성장을 이끈 핵심 세대, "4050 여성" 이용자
- ‘가격’ 내세운 중국 쇼핑 앱, ‘저품질’ 장벽 넘어설 수 있을까?
- 인터넷 전문은행, 오프라인 은행 영업점 대체할 수 있을까?
- 갤럭시 vs 아이폰
- 줄어드는 양, 커지는 부담감 “숨겨진 물가 상승, 꼼꼼하게 볼 수밖에…”
- 떠오르는 ‘맨즈 뷰티’ 시장, "올리브영, 남성 소비자에게 통했다"
- 해외여행 필수품 된 ‘트래블카드’ 현금 사용량 뛰어넘을까?
- 4050 SNS 이용 패턴의 변화, SNS 시장 세대교체 이끄나?
- “저렴해서 좋지만… 짝퉁이면 어떡해?” ‘명품 쇼핑 앱’, ‘신뢰 확보’가 관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