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해외여행 플랫폼 앱 사용시간 세대별 1위는 40대, 2위는 20대
온라인 해외여행 플랫폼 결제추정금액 세대별 1위는 30대로 역대 최대 규모 달성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온라인 해외여행 플랫폼의 앱 사용시간과 결제추정금액을 조사한 결과, 24년 3월 온라인 해외여행 플랫폼을 가장 많이 사용한 세대는 40대로 54만 시간을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 뒤를 이어 20대 36만 시간, 30대 32만 시간, 50대 30만 시간, 60세 이상 4만 시간, 20세 미만 2만 시간이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용시간이 급격하게 감소했던 온라인 해외여행 플랫폼 사용시간은 23년 5월 엔데믹 선언 이후 모든 연령에서 코로나 이전 수준을 뛰어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월 온라인 해외여행 플랫폼에서 가장 많이 결제한 세대는 30대로 결제추정금액이 3,673억 원으로 역대 최대를 달성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 뒤로 20대 2,484억 원, 40대 1,883억 원, 50대 1,727억 원, 60세 이상 722억 원 순이었다.
엔데믹 선언 이후 모든 연령대의 결제추정금액이 급격히 상승해 코로나 이전 대비 결제 규모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위 조사는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실시한 한국인 안드로이드와 iOS 스마트폰 사용자 표본 조사와 만 20세 이상 개인의 신용카드, 체크카드, 계좌이체, 휴대폰 소액결제로 결제한 금액을 추정한 것으로 소비자의 결제 내역에 표시된 내역을 기준으로 했다.
여행사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했으며, 법인카드, 법인계좌이체, 호텔 관리 서비스, 정보제공 서비스 등의 기업 간 거래, 현금거래, 상품권, 직영 호텔에서 결제한 금액과 간편결제 금액은 포함되지 않았으며 개별 기업의 실제 매출액과는 다르다고 밝혔다.
- 액티브시니어 국내여행 예정자가 계획한 국내여행지 1위는 ‘강원(23.8%)’
- MZ취향 싱가포르 여행, 신상 호텔로 떠나볼까?
- 온라인 해외여행 플랫폼 결제추정금액 코로나 이전 대비 2배 증가
- 한국 관광객, "엔데믹 첫해, 해외•일본여행 대폭 늘고 서울•제주찾는 내국인 관광객 줄었다"
- 인스타그램, 네이버 제치고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앱 3위 기록
- '시성비' 품은 "패키지 여행"의 부활, 젊은 세대 사로잡나?
- 해외 찾았던 여행族, 국내 관광으로 눈 돌리나
- 유튜브앱, 한국인 전체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33.6% 차지
- 챗GPT 국내 앱 사용자 수 315만 명... 20대에서 가장 많이 사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