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가 사상 처음으로 글로벌 시가총액 1위에 올랐다. 반도체 기업으로는 최초다.
글로벌 금융 정보 사이트 CompaniesMarketCap.com이 7월 18일 기준으로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은 약 4조2,000억 달러(약 5,700조 원)로, 애플(3조1,000억 달러), 마이크로소프트(3조8,000억 달러), 아마존(2조4,000억 달러)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높은 기업가치를 기록했다.
이번 데이터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각 데이터 전문 매체 비주얼 캐피털리스트(Visual Capitalist)는 2025년 7월 기준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50대 기업을 시각화한 자료를 공개했다. 해당 자료는 국가별 기업 분포와 산업별 영향력 등을 한눈에 보여주며, 전 세계 자본 시장의 흐름 변화를 직관적으로 드러낸다.
AI 반도체 수요, 엔비디아 주가 급등 이끌어
AI 열풍과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장에 따른 고성능 반도체 수요 급증이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을 끌어올린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생성형 AI 기술 확산 속에서 엔비디아의 GPU는 필수적인 연산 자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2025 회계연도 기준으로 엔비디아의 매출은 1,150억 달러로 전년 대비 약 두 배 가까이 성장했다. 올해 초 2조3,000억 달러 수준이던 시가총액은 단 몇 달 만에 두 배 가까이 급등하며 시장의 기대를 증명했다. 여기에 미중 간 무역 긴장 완화와 AI 관련 기술 수요 확대도 상승세에 힘을 보탰다.
미국 기술기업, 상위권 독식
미국 기업의 시장 지배력은 더욱 강화됐다. 전체 50개 기업 가운데 34개가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상위 10위는 모두 미국 기업이 차지했다. 알파벳, 메타, 테슬라 등 이른바 ‘빅테크’ 기업들이 줄줄이 이름을 올렸고, 금융업종에서는 비자와 JP모건 체이스도 상위권에 포진했다.
삼성전자 30위... TSMC 아시아 1위
한국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가 유일하게 30위에 올라 있다. 시가총액은 약 3,160억 달러다. 아시아 기업 가운데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곳은 대만의 TSMC로, 1조2,000억 달러 규모의 시가총액으로 9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텐센트, 알리바바, ICBC 등 국영 및 민간 기업들이 순위에 들었지만 대부분 20위권 밖에 머물렀다.
유럽 기업, 고전 속 일부 존재감
유럽 기업은 프랑스의 LVMH와 에르메스, 독일의 SAP, 덴마크의 노보 노디스크, 스위스의 로슈 등이 포함됐다. 네덜란드의 반도체 장비 기업 ASML도 2,900억 달러 규모로 이름을 올렸다. 다만 1조 달러를 넘는 기업은 유럽에서 단 한 곳도 없었다. 이는 디지털 플랫폼 기반 기업들의 시가총액이 높은 미국 중심의 시장 구조를 반영한다는 분석이다.
“실적보다 기대감”... 고평가 논란도
전문가들은 엔비디아의 시총 급등에 대해 “실적보다는 미래에 대한 기대가 반영된 결과”라고 본다. 현재 매출 규모만 보면 여전히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다른 빅테크 기업에 비해 작지만, AI 산업의 핵심 인프라를 장악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성장 가능성이 평가받고 있다.
다만 기대감이 너무 앞서간 것이 아니냐는 경계도 존재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GPU 기술에 대한 수요는 당분간 지속되겠지만, 경쟁사의 추격, 기술의 성숙화, 각국의 규제 변수 등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인포그래픽] 전 세계서 가장 흔한 비밀번호 1위 ‘123456’…해킹에 1초도 안 걸린다
- [인포그래픽] 한국, 세계 온라인 쇼핑 4위…美·中이 압도적 1·2위
- [인포그래픽] 2024년 ‘세계 최고의 국가’ 랭킹…스위스 1위, 한국 18위
- [인포그래픽] 업무시간 최대 76% 단축… 생성형 AI가 가져온 생산성 혁신
- [인포그래픽] “카페인, 알고 마시자!”…음료별 카페인 농도 한눈에
- [인포그래픽] 전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비상장 기업 1위는 ‘바이트댄스’... 오픈AI, 3위 올라
- [인포그래픽] 영어, 2025년에도 ‘세계 공용어’…15억 명 사용하며 1위 차지
- [인포그래픽] 사우디 아람코, 미국 제외 세계 최대 기업... TSMC, 비미국 기업 중 두 번째 1조 달러 클럽
- [인포그래픽] AI가 가장 많이 참고하는 웹사이트는 레딧…위키피디아·유튜브 순
- [인포그래픽] 챗GPT 못 쓰는 나라는 어디?
